솔라나의 현주소…\"블록체인 한계 뛰어넘을 것\"

솔라나 [사진: 셔터스톡]
솔라나 [사진: 셔터스톡]

[디지털투데이 김예슬 기자] 솔라나 재단의 댄 알버트 이사가 일본 웹3 컨퍼런스 웹엑스에 참석해 인터뷰에 응했다.

<!-- -->

이번 인터뷰에서는 솔라나 생태계의 현황과 솔라나 스마트폰 보급, 향후 계획 등이 언급됐다.22일(현지시간) 블록체인 매체 코인포스트가 인터뷰 내용 중 일부만 발췌해 요약했다.

먼저 알버트는 솔라나의 활성 개발자가 올해 보다 15% 증가했고, 지난 7월 1일 기준 2856명에 달했다고 밝혔다. 또한 메인넷에 배포된 신규 프로젝트 및 스마트 컨트랙트 수가 전기 대비 약 47% 증가해 2024년 1분기 2022개에서 2분기 2971개로 늘어났다고 밝혔다.

알버트에 따르면 전반적인 솔라나 생태계의 발전을 지속적으로 촉진하고 있는 것은 전 세계에서 이뤄지고 있는 해커톤(개발 이벤트)이다. 솔라나의 해커튼은 프로그래밍 코드를 겨루게 할 뿐만 아니라 스타트업 육성까지 하고 있다고 한다. 프로젝트 신청자나 해커톤 우승자에게는 잠재적인 투자자와 지도자를 소개해주는데, 이 과정에서 솔라나 재단은 우수한 개발자를 배출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과 협업하고 있다. 2024년 상반기에만 1400명 이상의 개발자가 솔라나 재단이 협업하는 교육 프로그램을 졸업한 것으로 알려졌다.

알버트는 솔라나 생태계 발전과 관련해 '슈퍼팀'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현재 5대륙 14개국에 슈퍼팀이 있어 솔라나의 인지도를 높이고 있을 뿐만 아니라, 현지 개발자가 해커톤 등의 기회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고 한다.

솔라나 사가폰 [사진: 솔라나 모바일]
솔라나 사가폰 [사진: 솔라나 모바일]

알버트는 지난해 12월 완판된 솔라나의 첫 번째 스마트폰인 사가(Saga)에 대해기대 이상이었다고 밝혔다. 이어 지난 1월 선보인 새로운 스마트폰 챕터2(Solana Seeker)는 사전 주문만 14만대를 기록했다고 덧붙였다. 또한 모바일 앱의 수를 늘리는 것이 향후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알버트에 따르면 현재 앱스토어에는 약 100개의 디앱(dApps)이 있다.

이번 인터뷰에서는 솔라나 생태계에서 큰 발전을 하고 있는 디파이(DeFi, 탈중앙화 금융)도 언급됐다.알버트는 디파이의 최근 동향에 대해 페이팔의 미국 달러 스테이블코인 'PYUSD'가 솔라나에서 출시된 것을 언급했다. 이는 출시 후 불과 몇 달 만에 이더리움 블록체인 상 발행량의 약 2배를 기록했다. 또한 탈중앙화 거래소(DEX)의 월간 거래량이 지난 7월에 처음으로 이더리움을 넘어섰다는 점도 언급했다.

디핀(DePIN, 탈중앙화 물리적 인프라 네트워크)과 관련해 알버트는 솔라나 상에서 78개의 디핀 프로젝트가 개발 중인데, 이는 다른 체인보다 많은 숫자라고 밝혔다. 그 이유에 대해 알버트는 솔라나가 빠른 처리 속도와 낮은 거래 비용, 탄탄한 결제 시스템 등의 장점과 더불어 디파이, 토큰 거버넌스, 법정화폐 생태계가 발전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아울러 이러한 장점으로 인해 디핀 서비스 제공자와 이용자 모두 인센티브와 다양한 기회를 쉽게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솔라나의 새로운 독립형 검증인 클라이언트 '파이어댄서'(Firedancer)에 대해서는 노드 하드웨어의 강점을 최대한 살릴 수 있도록 소프트웨어를 최적화하기 위해 새롭게 재설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테스트 초기 단계에서는 초당 100만TPS를 달성했다고 소개했다. 100만TPS라는 수치는 메인넷 첫 출시 시점에서는 보기 드문 높은 성능이라고 한다. 파이어댄서는 연내로 메인넷에 출시될 예정이다.

알버트는 파이어댄서가 솔라나의 가능성을 더욱 확장함으로써 다른 블록체인에서는 불가능한 새로운 창의적인 프로젝트가 탄생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앞으로의 계획에 대해 알버트는 솔라나가 블록체인 플랫폼의 한계를 뛰어넘는 것을 계속 추구할 것이라고 답했다. 레이어 1 프로토콜로서 확장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다양한 제품을 위해 블록체인을 견고하게 만드는 데에도 지속적으로 노력한다는 목표다.

작성자의 추가 정보

\"알트 시즌 온다\"…비트코인 지배력 하락세

“AI 기반 디파이 한계 해결할 zkML·인격증명 기술 주목하라\"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