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10만달러 넘자 \'셀프 커스터디\' 각광

트레저(Trezor) 모델T 하드웨어 지갑 [사진: 트레저]
트레저(Trezor) 모델T 하드웨어 지갑 [사진: 트레저]

[디지털투데이 AI리포터] 비트코인을 포함한 암호화폐 시장 가치가 올라가면서 보유한 암호화폐 자산을 보호할 수 있는 셀프 커스터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고 27일(현지시간) 블록체인 매체 코인텔레그래프가 전했다.

<!-- -->

하드웨어 지갑 제공업체 트레저는 암호화폐의 기관 채택이 증가함에 따라 중앙화된 거래소나 기관의 잠재적 실패로부터 자신의 자산을 보호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트레저의 비트코인 분석가 루시앙 부르동은 "기관 참여 증가에 따라 중앙화 거래소로 인해 겪을 수 있는 높은 변동성과 부정적 시장 리스크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면서 "셀프 커스터디, 즉 제3자에 의존하지 않고 자산을 보유, 관리하는 방법이 중앙화 리스크에 대한 장기적 해결책"이라고 주장했다.

기관 채택은 비트코인 상장지수펀드(ETF) 등을 통해 수십억 달러의 자금을 비트코인으로 유입시켰다. 2024년에는 380억달러(약 54조원)가 비트코인 ETF로 흘러들었다.

루시앙 부르동은 "마이크로스트레티지 주식이나 비트코인 ETF를 매입하는 것이 편리한 투자 방법이긴 하나 실제 비트코인을 보유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경고했다.

그는 "비트코인의 강점은 소수에게가 아니라 다수에게 통제권을 부여하는 데 있다"면서 "직접 자산을 보유, 관리함으로써 다양한 시장 리스크를 회피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물론 셀프 커스터디가 만능은 아니다. 특히 개인 키 분실 시 자산을 영원히 회수할 수 없다는 점은 매우 큰 단점으로 지적된다.

트레저는 비트코인 독립과 금융 주권을 기념하기 위해 트레저 세이프 5 프리덤 에디션을 출시할 예정이다. 루시앙 부르동은 "비트코인은 위기와 혼란을 견뎌낸 디지털 자산"이라며 "비트코인의 펀더멘털을 확신한다면 중앙화 거래소보다 셀프 커스터디를 통해 자산을 직접 관리할 것"을 권장했다.

△디지털투데이 텔레그램 뉴스채널 구독하기(클릭)

작성자의 추가 정보

\"미 SEC, 은행들의 가상화폐 보유 길 열어\"

웹3 신원 플랫폼 휴머니티 프로토콜, 투자 유치...\"홍채 보단 손바닥 스캔이 현실적\"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