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법무부, 실크로드 압수 비트코인 매각설…시장 하락 촉발?

미국 법무부 [사진: 셔터스톡]
미국 법무부 [사진: 셔터스톡]

[디지털투데이 AI리포터] 미국 법무부(DOJ)가 과거 실크로드 마켓플레이스에서 압수한 비트코인(BTC)을 비밀리에 매각하고 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 -->

11일(현지시간) 블록체인 매체 코인포스트에 따르면 데이비드 베일리 비트코인 매거진(Bitcoin Magazine) 최고경영자(CEO)는 엑스(구 트위터)에 법무부가 비트코인을 지속적으로 매각하고 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그는 "DOJ가 3개월 전에 법원의 승인을 얻은 이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친암호화폐 정책을 지지하는 상황에서도 보관 중인 비트코인을 서둘러 청산해 왔다면 비트코인 가격의 최근 하락세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라고 주장했다.

일부 전문가들은 베일리의 이 같은 주장을 일축하며, DOJ의 비트코인 보유량이 시장 전체를 크게 움직일 만큼 크지 않다고 반박했다. 또 다른 전문가 역시 더욱 광범위한 거시 경제 요인이 비트코인 가격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번 베일리의 주장은 지난해 12월 미국 법원이 DOJ에 대해 실크로드에서 압수한 6만9370 BTC를 청산할 수 있도록 허가한 것에서 시작됐다. 실크로드는 불법 온라인 마켓플레이스로, 2014년 미국 당국에 의해 폐쇄되었다.

DOJ는 지금까지 이러한 매각을 일괄 경매로 실행해 왔으나, 구체적인 일정이나 방식에 대한 투명성이 부족해 다양한 추측의 여지를 남겼다. 실제로 엑스의 사용자 중 한 명이 매각을 어떻게 방지할 수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베일리는 "현재 작업 중"이라며 애매한 답변을 남겨 관심을 끌었다.

매체는 이번 상황에 대해 "트럼프 행정부의 비트코인 준비금 창설 방침과 법무부의 매각 허가라는 상반된 정책으로 인한 모순을 드러내고 있다"라며 "시장 참가자들은 정부의 투명성 강화를 요구하고 있다"라고 전했다.

△디지털투데이 텔레그램 뉴스채널 구독하기(클릭)

작성자의 추가 정보

파키스탄, 블록체인 기술로 해외 송금 절차 혁신 박차

글로벌 스테이블코인 시장, 대형 은행·핀테크 기업들 몰려 온다...크로스 보더 결제 정조준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