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사들, AI 시대 경쟁력 키우려면 네트워크 구조 확 바꿔야\"...왜?

김우준 삼성전자 DX부문 네트워크사업부장(사장)
김우준 삼성전자 DX부문 네트워크사업부장(사장)

[디지털투데이 황치규 기자]"현재 통신 네트워크는 AI에 최적화돼 있지 않아요. 유연성이 떨어져 변경과 관리도 쉽지 않습니다. 근본적인 구조를 바꾸지 않으면 AI 시대, 계속 문제가 될 것입니다."

<!-- -->

김우준 삼성전자 DX부문 네트워크사업부장(사장)이 AI 시대, 통신 업체들이 중량감을 키우려면 네트워크 인프라에 대한 구조적인 전환이 필요하다는 점을 거듭 강조했다.

그는 1일 웨스틴 조선 호텔에서 열린 GSMA M360 APAC 서울 컨퍼런스 기조연설에서 "AI는 콜센터와 네트워크 분석에 사용되고 있지만 국면을 전환하는 게임 체인저는 아니다. AI에서핵심은 데이터다. 네트워크를 데이터 중심으로 만들어야 하는데 지금은 그렇지 않다. 유연성이 떨어져 변경과 관리가 쉽지 않다. 근간 인프라를 바꾸지 않으면 앞으로도 계속 문제가 될 것이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에 따르면 현재 통신 네트워크는 다양한 시스템들이 다양한 조직들에 의해 관리되다 보니 파편화돼 있는 상황이다. 데이터 포맷과 양식도 제각각이다. 이런 환경에선 AI에 맞는 데이터를 수집하고 활용하기가 쉽지 않다.

김우준 사장은 "기존 네트워크 모델은 음성이나 텍스트에는 적절했지만 지금처럼 빠르게 바뀌는 환경에선 그렇지 않다. 새로운 통신인프라 필요하다. 새로운 통신 인프라는 데이터, AI 친화적이어야 한다. 그러려면 유연하고 단일한 구조에 기반하고 공통 소프트웨어 스택 위에서 구동돼야 한다"고 말했다.

미래 통신 네트워크는 분산형으로 다목적이면서 단일 통제점 기반으로 변경과 추가가 쉬워야 한다는 것이었다. 단일 플랫폼 기반으로 다양한 용도를 지원하는 분산형 엣지 컴퓨팅 기반으로 가야 통신사들이 대규모 데이터센터를 운영하는구글이나 메타 같은 하이퍼스케일러(hyperscaler)들을 상대로 경쟁우위를 가질 수 있다는게 그의 설명이다.

그는 "이를 통해 클라우드와 로케이션(Location, 데이터가 발생하는 곳과 가까운 인프라를 의미)을 모두 활용하면서 진정한 엣지 컴퓨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이를 기반으로 AI를 지원할 수 있다"고 말했다.

삼성전자도통신 회사들이 AI에 맞게 네트워크를 전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데 속도를 내고 있다. 김우준 사장은"소프트웨어 정의 인프라를 위해 가상화는 불가피하다고 보고 적극 투자해왔고 이제는 AI 친화적인 유연하고 자동화된 네트워크를 만드든데 집중하고 있다. 통신사들이 AI 시대 승자가 될 수 있도록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다"고 말했다.

[db:圖片]

작성자의 추가 정보

알리·테무 안전기준 부적합 제품, 1년간 수천개 이미 유통돼

은행권, 금융소외계층 및 소상공인 지원 위한 ‘은행 공동ATM’운영 실시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