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 넘어 AICT 컴퍼니로 진화...협력의 필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김영섭 KT 대표.
김영섭 KT 대표.

[디지털투데이 황치규 기자] "AI 부상으로 경계가 흐려지고 경쟁의 양상이 바뀌고 있다. 빅테크 기업들은 저궤도위성으로 연결성을 제공하며 네트워크 영역으로 들어오고 있다. KT 같은 통신사들도 전통적인 네트워크에 머물지 않고 AI 기반 서비스 기업으로 변모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한 회사가 모든 고객 니즈를 다 충족시킬 수는 없다. 협력이 무엇보다 중요해졌다."

<!-- -->

KT의 김영섭 대표가 AI 중심으로 산업 구조 개편이 거세게 진행되는 상황에서 자체 개발한 기술에만 모든 걸 의존할 수는 없다며 AI 시대, 협력이 점점 중요해지고 있음을 분명히 했다.

그는 1일 개막한 GSMA M360 APAC 서울 컨퍼런스 기조연설에서 "KT는 네트워크를 넘어 AI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AICT 기업으로진화하고 있다"면서 데이터, 솔루션, 인프라 주권을 확보하면서 빅테크, 스타트업들과협력해 이들 업체 첨단 기술을 받아들이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어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그의 메시지는 협력적인 소버린(Sovereign) 모델로 요약된다. 독립성을 유지하면서 외부 기업들과 협력하는 것이 골자다.

핵심 기술에 대한 역량을 유지하고 데이터와 AI에 대한 주권을 기업과 국가 차원에서 확보하면서도 외부 기업들과 협력을 통해 가치를 창출하는 것이 AICT 기업으로서경쟁력을 좌우하게 될 것이란게 그의 설명이다.

KT가 글로벌 빅테크 기업인 마이크로소프트와 손을 잡은 것도협력적인 소버린 모델 전략일환이다.

ㆍKT-마이크로소프트와 동맹...한국형 특화 AI 개발 맞손

김 대표는 "KT는자체 거대 언어 모델(LLM)인 '믿음'을 내놨고 산업 특화 소형 언어 모델(SLM)도 개발하고 있다"면서 "그러면서 마이크로소프트와 협력해 한국에 특화된 AI 모델과 에이전트들도 개발해 나갈 것이다"고 강조했다. 이어 "마이크로소프트와 소버린 AI 상용화에도 함께 투자하기로 했다"면서 "하이퍼스케일 데이터센터, GPU 팜, 한국에 특화된 AI 클라우드 및 AI 서비스를 구축하고 있다"고 전했다.

AI 시대 네트워크 전략도 그가 강조한 포인트. 그는 "AI 에브리웨어(Everywhere) 시대에, 개인화된 모바일, 자율주행, 무인로봇 공장과 같은 서비스를 가능케 하려면 강력하고 초지연에 기반한 인텔리전스 네트워크가 필요하다. 6G도 여기에 포함될 것이다"고 말했다.

하지만 김 대표는 향후 통신 네트워크는예전처럼 새로운게 세대 기술이 나오면 이전 세대 네트워크를 대체하는 방식으로 진화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그는 "특정 세대 네트워크에 의존해 모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현실적이지 않다. 과거에는 새로운 세대가나오면 이전 세대는 끝나는 것으로 간주됐지만 앞으로는 4G, 5G, 6G가 공존할 것이다"고 말했다. 다양한 세대 네트워크들이 공존하면서 역할에 맡는 영역을 커버하게 될 것이란 설명이다.

그는 "AI와 통신을 게속 통합하고 개방형 협력에 속도를 낼 것이다. 비지상 네트워크 업체들과도 협력해야 한다. KT는 글로벌 위성 사업자들과 협력해 6G NTN 서비스도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db:圖片]

작성자의 추가 정보

안랩, \'IT 기업 디지털 접근성\' 주제로 임직원 ESG 특강 진행

우리금융, 시청각장애 아동·청소년 400명에게 의료지원 약속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