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팔로봇 등 연구생태계 조성 목표
김종규(왼쪽부터) 포항공대 산학협력단장, 김영오 서울대 공과대학장, 양희원 현대자동차·기아 R&D본부장, 김익재 한국과학기술원 AI·로봇연구소장 [현대자동차·기아 제공] |
현대자동차·기아는 서울대·포항공대(포스텍)·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과 함께 이동형 양팔로봇의 기술 경쟁력 강화와 로봇 연구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로보틱스 공동 연구실’을 설립했다고 23일 밝혔다.
서울대 교수회관에서 지난 22일 열린 협약식에는 양희원 현대차·기아 R&D본부장(사장)과 김영오 서울대 공과대학장(건설환경공학부 교수), 김종규 포항공대 산학협력단장(신소재공학과 교수), 김익재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AI·로봇연구소장이 참석했다.
4개 기관은 산학협력 전문 기관인 현대엔지비와 향후 3년 동안 로보틱스 공동 연구실을 운영하며 이동형 양팔로봇의 기술을 내재화해 경쟁력을 높이고, 로봇 연구 기관의 산-학-연 협력체계를 구축해 양질의 로보틱스 연구 생태계를 만드는 데 역량을 합친다.
현대차·기아 로보틱스랩은 공동 연구실 내에서 로봇 하드웨어 분야를 맡게 될 예정이다. 로보틱스랩은 개발중인 로봇 손이 더욱 복잡한 형상에도 대응할 수 있도록 기술을 강화하면서, 이동형 양팔로봇의 자율 이동과 작업 수행능력을 진일보시키는 데 힘을 쏟는다.
서울대는 유리와 같은 투명 물체를 조작하기 위한 로봇의 인식 기술을 확보하고 등록되지 않은 물체도 잡을 수 있도록 소프트웨어를 고도화한다. 또 초광각 카메라를 기반으로 로봇이 공간을 정밀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해 주행 능력을 높이고, 로봇의 양팔이 서로 협동하는 제어 기술을 연구한다.
포항공대는 사람이 원격으로 로봇을 조종할 때 필요한 원격 햅틱 장비를 개발하는 등 인간과 로봇의 상호 작용에 대한 포괄적 연구를 진행한다.
KIST는 비정형 물체를 포함한 다양한 사물 조작 인식 기술을 확보하는 데 힘을 보태며, 로봇의 움직임을 미리 예측해 제어하는 알고리즘을 통해 로봇이 효율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연구를 진행한다.
이번 협업은 국내 최고 로봇 연구 기관이 기술을 함께 개발한다는 것과 더불어 로봇 연구 생태계를 조성한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남다르다. 4개 기관은 공동 연구를 통해 우수 인재 확보하고, 전문가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해 노력한다.
현대차·기아 관계자는 “미래 서비스 로보틱스 시장에서는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이동형 양팔로봇’ 기술이 핵심 역할을 담당할 것”이라며 “국내 최고 로봇 연구 기관들이 협력하는 만큼 기술을 고도화해 다양한 서비스 로보틱스 시장을 창출하도록 노력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김성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