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친화 정책을 내걸은 도널드 트럼프 [사진: 셔터스톡]
[디지털투데이 손슬기 기자]트럼프 재집권으로 제2의 초기코인공개(ICO) 붐이 일지 주목된다.
<!-- -->
미국 가상자산(암호화폐) 투자업계를 중심으로트럼프 2기 출범과 함께 지난2017년 흥행했던 ICO 시장이 부활할 수 있다는 기대감이 퍼지고 있다.
미국 암호화폐 투자사 시길펀드의 피스칸테스 최고투자책임자는 "내년 1월에는 미국의 현명한 창업자들이 SEC단속에 대한 두려움을 더이상 느끼지 않게 될 것"이라며 "ICO가 다시 떠오로는이유다"고 말했다. 내년 1월 20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과 동시에 게리 겐슬러 SEC 위원장은 사임이 예정돼 있다.
소매 투자자들의 초기 프로젝트 투자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기업 자금 조달 방식이 공개 모집인 ICO에서 사모 방식인 벤처 캐피털(VC)로 바뀌면서 소매 투자자들의 투자 기회가 줄어들었고 이에 대한 불만이 크다는 것.
딘 유진먼 다이얼렉틱 공동 창업자는 "소매 투자자들은 벤처 캐피털들보다 더 비싸게 코인 가격을 지불해야하는 것에 대해 일반적으로 좌절하고 있으며 많은 평가가 완전히 정당하지 않다는 인식을 갖고 있다"고 했다.
제드 브리드 브리드VC 창립자는 프로젝트가 VC로부터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토큰을 수십억달러 가치로 상장하는 경우가 많아 상장 후엔 이미 상승 여력이 제한적임을 지적했다. 그는 "더이상 (개인 투자자 중) 아무도 100배 수익을 얻지 못하는데 이는 안타까운 일이다"고 말했다.
제1회 가상자산위원회에서 김소영 위원장이 발언하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국내에서도 2단계 가상자산 입법 과정에서 ICO 허용 여부를 놓고 논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한때 ICO는 스타트업들이 편하게 자금을 공모할 수 있는 수단으로 각광받으며 과열 양상을 보였으나 2017년 9월 금융위원회는 ICO를 투기라고 판단하며 금지 결정을 내린 바 있다.
관련해 거래소 업계는 가상자산의 법적 성격을 명확히하는 2단계 입법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한 가상자산거래소 업계 관계자는 "법규가 명확해 지면 보호도 명확해지기 때문에 규제 논의가 선행돼야 한다. 2단계 법이 중요한 이유가 가상자산에 대한 법적 성격 구분에 따라 코인 발행이나 조세 원칙 등 민감한 이슈에 대한 세부안이 모두 조정될 수 있다"면서 "ICO가 아니더라도 IEO나 바이낸스의 런치패드와 같은 해외 거래소 사례를 국내에서도 가능하도록 시장을 열어줘 블록체인 산업 생태계를 조성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학계 등 전문가들은 국내 코인 발행 시장이 글로벌 경쟁력에 있어 밀릴 수 있음을 지적했다. 다년간 초기 투자 경험을 누적해 온 코인베이스 등 해외 거래소와 달리 국내 거래소들은 양질의 온체인 프로젝트들을 선별할 수 있는 기회 및 제도가 없었다는 시각이다.
앞선 재무학회 주관 공동정책심포지엄에서 이종섭 서울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 교수는 "지금 가장 각광을 받고 있는 영지식증명 기반 이더리움 레이어2 플랫폼에 대한 초기 투자를 코인베이스 벤처가 했다"라면서 "블록체인 기반 초기 스타트업들을 선별할 수 있는 안목은 쉽게 생기지 않는데 코인베이스는 다양한 투자경험들을 통해 무엇이 초기단계에서부터 서비스 제공 단계까지 키워나갈만한 양질의 프로젝트인지를 벤처 캐피털같은 투자행위를 통해 노하우를 쌓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만약 국내에서 발행 시장을 ICO가 아닌 IEO 형태로 간다고 한다면 거래소의 이런 노하우는 굉장히 중요해질 것이고 이러한 경험들을 쌓을 수 있는 기관투자류의 인프라구조 역시 주목해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디지털투데이 텔레그램 뉴스채널 구독하기(클릭)
[db:圖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