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취임 후 가상자산 시장 변동성 심화...유동성 제약 등이 원인”

[사진: 디스프레드]
[사진: 디스프레드]

[디지털투데이 황치규 기자]웹3 컨설팅 기업 디스프레드 리서치 전담 조직 ‘디스프레드 리서치’가 최근 가상자산 시장 변동성과 그 원인에 대한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13일 밝혔다.

<!-- -->

1월 20일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 미국 대통령 취임 이후 가상자산 시장은 큰 변동성을 보이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1월 27일 딥시크가 이슈가 되면서 비트코인 가격 최대 낙폭이 7%를 기록한데 이어 지난 6일 트럼프 대통령이 캐나다, 멕시코, 중국을 상대로 부과한 관세 정책으로 인해 낙폭은 최대 12%까지 커졌다. 이후 단기 반등이 있었으나, 전반적인 추세가 이어지고 있다.

리서치팀은 현재 가상자산 시장 변동성을 심화시키는 주요 요인으로 △유동성 환경 제약 △미국 경기와 트럼프 행정부 정책 방향성 △미국 가상자산 산업 편입 가능성 등을 꼽았다.

보고서는 2023년 이후 미국 자산 시장이 단기채 공급을 통해 유동성을 유지하는 전략을 펼쳐왔으나, 최근 미 연방준비제도(Fed, 연준) 역레포(Reverse Repo) 계좌 잔고가 거의 소진된 상태이며, 부채 한도 협상 문제가 해결되지 않을 경우 유동성이 더욱 제한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어 “현재 미국 자산 시장의 유동성이 급격히 축소되고 있다”라며 “가상자산 시장은 유동성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특성이 있어 시장 불안정성이 더욱 두드러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가상자산 산업이 주목해야 할 세 가지 요소로 △미국 정부 비트코인 보유 가능성 △스테이블코인 대규모 채택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규제 완화 가능성 등을 꼽았다. 그러나 이런 요소들은 가상자산 산업 내부에서 통제할 수 없는 외생 변수이므로, 확정되기 전까지는 시장 방향성이 불확실할 수 밖에 없다.

디스프레드 리서치팀은 “현재 가상자산 시장에서는 밈코인 거래와 같은 투기적 내러티브가 우세하고 신생 프로젝트들이 내세우는 비전이 갖는 설득력이 크게 약화된 상황”이라며 “유동성이 부족하고 거시 경제 및 정치적 변수가 큰 상황에서 당분간 시장 불안정성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보고서를 작성한 이승화 리서치팀장은 “트럼프 대통령 당선 이후 급등했던 가상자산 시장이 유동성 환경 제약과 트럼프 행정부 정책 현실화 과정에서 큰 변동성을 겪고 있다”며 “당분간 해당 정책이 구체화될 때까지 시장 혼조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이고, 장기적으로는 산업 자체적으로 발전의 원동력을 마련해 나가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디지털투데이 텔레그램 뉴스채널 구독하기(클릭)

작성자의 추가 정보

로빈후드, 2024년 4분기 암호화폐 거래량 400% 증가

비트판다, 英 금융감독청 승인 확보…현지 암호화폐 서비스 돌입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