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사진: Reve AI]
[디지털투데이 AI리포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인상으로 글로벌 시장이 흔들리면서 기업 비트코인 보유량이 40억달러 이상 감소했다고 7일(현지시간) 블록체인 매체 코인텔레그래프가 전했다.
<!-- -->
이날 기준 기업 비트코인 보유량은 약 545억달러로, 4월 2일 590억달러에서 급감했다. 암호화폐의 변동성은 기업 비트코인 보유 기업들의 주가에도 영향을 미쳤다. 비트와이즈 비트코인 스탠다드 코퍼레이션 ETF(OWNB)는 4월 2일 이후 13% 이상 하락했으며, 스트래티지 주식도 같은 기간 13% 이상 급락했다.
이러한 하락세는 비트코인이 기업 자산으로 적합한지에 대한 의문을 다시 불러일으켰다. 기업들이 전통적으로 안전자산인 미국 국채를 보유하는 관행과 달리, 비트코인은 높은 변동성과 규제 불확실성 때문에 기업 재무관리 원칙과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다.
데이비드 크라우스(David Krause) 마켓대학 교수는 "비트코인의 변동성은 기업 재무관리의 안정성, 유동성, 자본 보존 목표와 상충된다"라고 분석했다. 반면, 피델리티 디지털 애셋은 비트코인이 "재정적자, 통화 평가절하, 지정학적 위험에 대한 잠재적 헤지가 될 수 있다"라고 평가했다. 실제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발표 이후 전통적 위험 자산이 흔들리는 동안 비트코인은 비교적 안정세를 유지하기도 했다.
바이낸스는 최근 보고서에서 "관세 발표 이후 비트코인은 전통적 위험 자산이 흔들릴 때 오히려 반등하는 모습을 보였다"라며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속에서 비트코인이 비주권 자산으로서의 매력을 유지할지 주목된다"라고 밝혔다.
△디지털투데이 텔레그램 뉴스채널 구독하기(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