헝가리 부다페스트에 자리한 사토시 나카모토 동상 [사진: 셔터스톡]
[디지털투데이 강진규 기자] 비트코인 창시자의 정체를 추적한다큐멘터리가 주목을 받았으나 공개 후 오히려가중되는 모습이다.사토시 나카모토라는 가명을 쓴 비트코인 개발자가 실제로 누구인지를 다룬 HBO 다큐멘터리가방영 후 암호화폐 커뮤니티의 거센 직면했다.
<!-- -->
⦁23세 학생이 비트코인 만들었다고? 사토시 나카모토 정체 다룬 HBO 다큐 논란
8일(현지시간) 방영된 HBO 다큐멘터리는 오랫동안 비트코인 컨트리뷰터로 활동해온 피터 토드(Peter Todd)를 사토시 나카모토라고 결론 내렸다.
비트코인 백서가 공개된 2008년 당시 피터 토드는 23세로 인문학 학위를 마치고 있었는데, HBO 다큐멘터리는 그가 사토시 나카모토일 가능성이 가장 높다고 봤다.
다큐멘터리는 토드가 비트코인 신뢰성을 강화하기 위해 사토시라는 이름을 채택했을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외부에서 블록체인이 아직 학교에 다니는 어떤 아이가 아니라 미스터리하고 자격을 갖춘 암호학자가 발명했다고 추측할 수 있도록 했다고 다큐멘터리는 전했다.
피터 토드. [사진: 피터 토드 X 계정]
이에 대해 당사자인 토드는 소셜 미디어 X(트위터)를 통해 자신은 사토시가 아니라며 호백 감독의 가설을 부인했다. 그는 코인데스크를 통해서는 호백이 내린 결론은 우연에 기반한 음모론적 사고에 뿌리를 두고 있다고도 지적했다.
이같은 비트코인 창시자가 피터 토드라는 HBO의 주장에 대해 초기 비트코인 개발자인 아담 백은 이것이 사실이 아닐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비트코인, 창시자 모르는 게 장점…핵심 정신에 부합
⦁2020년 비트코인 13억원? 빗나간 암호화폐 예측들
10일(현지시간) 블록체인 매체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아담 백은 비트코인 프로토콜의 유력한 창시자는 레이더에조차 잡히지 않았고, HBO 다큐멘터리에 등장한 사람은 더더욱 그럴 리 없다는 의견을 밝혔다.
제임스 세이퍼트 블룸버그 인텔리전스 애널리스트는 오는 2025년 1분기 중에 미국에서 비트코인 상장지수펀드(ETF) 옵션이 출시될 것으로 예상했다.
⦁비트코인 ETF 옵션, 2025년 1분기 중 출시 예상
9일(현지시간) 블록체인 매체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세이퍼트는 "옵션의 경우 연말까지 출시될 가능성도 있으나 2025년 1분기가 더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게리 겐슬러 SEC 위원장 [사진: SEC 트위터]
게리 겐슬러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의장은 비트코인 등 기타 암호화폐의 광범위한 사용에 대해 회의적인 태도를 보였다.
⦁SEC, 암호화폐 여전히 회의적…"지불 수단 가능성 낮아"
9일(현지시간) 블록체인 매체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NYU 로스쿨에서 열린 행사에서 게리 겐슬러는 정부로부터 독립적으로 만들어진 암호화폐가 규제 체계에 완전히 편입될 경우 사용자에게 어떤 가치가 있을지에 대한 참석자의 질문에 답했다.
마크 우예다(Mark Uyeda)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위원이 그간 암호화폐에 대한 SEC의 접근 방식이 재앙을 초래했다고 언급했다.
⦁美 SEC 위원 "SEC 규제 방식, 암호화폐 업계 재앙 초래"…무슨 일
10일(현지시간) 블록체인 매체 더블록에 따르면 마크 우예다 위원은 폭스비즈니스와의 인터뷰에서 "지난 몇 년간 우리의 정책과 접근 방식은 암호화폐 산업에 그야말로 재앙이었다"라고 말했다.
미국 투자자들은 암호화폐를 보유한 상장지수펀드(ETF)에 투자하는 데 매우 관심이 많은 것으로 드러났다고 10일(현지시간) 블록체인 매체 코인데스크가 전했다.
⦁美 투자자 45%, 암호화폐 ETF 투자 계획 "있다"
금융 서비스 대기업 찰스 슈왑의 설문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약 45%가 2025년 ETF를 통해 암호화폐에 투자할 계획이라고 답했다. 이는 1년 전의 38%에서 증가한 수치로, 채권과 대체 자산에 대한 수요를 앞지르고 있다.
대만 금융감독위원회(FSC)가 암호화폐 수탁서비스를 시범 운영할 계획이라고 9일(현지시간) 블록체인 매체 코인텔레그래프가 전했다.
⦁대만 금융감독위원회, 암호화폐 수탁 서비스 내년 시범 운영
FSC는 "2025년 1분기부터 신청 접수를 받을 예정이며, 현재 대만 민간은행 3곳이 암호화폐 커스터디 시범 운영에 관심을 표명한 상태"라고 밝혔다.
홍콩 증권선물위원회(SFC)가 2024년 말까지 자국 암호화폐 거래소 및 디지털 자산 회사에 더 많은 라이선스를 발급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사진: 셔터스톡]
홍콩 증권선물위원회(SFC)가 2024년 말까지 자국 암호화폐 거래소 및 디지털 자산 회사에 더 많은 라이선스를 발급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홍콩, 연내 암호화폐 거래소 허가 문 넓힌다
8일 블록체인 매체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줄리아 렁(Julia Leung) SFC 최고경영자(CEO)는 "규제 당국의 잠재적 라이선스 발급자 목록에 있는 현재 운영 중인 11개 가상 자산 거래 플랫폼(VATP)에 라이선스를 발급하는 데 진전이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레이어1 블록체인 수이 개발사인 미스틴 랩스가 핸드헬드 게임 기기인 수이플레이OX1을 2025년 선보인다. 미스틴랩스는 수이플레이OX1에 대한 사전 주문을 진행 중이다.
⦁수이 개발사 미스틴랩스 CEO "게임기 개발은 하드웨어 아닌 소프트웨어 전략"
12일(현지시간) 더블록 보도에 따르면 에반 쳉 미스틴랩스 CEO는 "수이플레이OX1는 모든 윈도 게임들을 플레이할 수 있는 게임기다. 다른 기기들보다 좋은 점은 깊은 소프트웨어 통합 및 OS 통합이다. 기존 웹3 게이머들을 지원하는 것에 있어서도 소프트웨어 때문에 우수하다"고 강조했다.
미국 블록체인 기업 리플이 은행과 핀테크 회사들을 겨냥한 신규 서비스들을 선보이고 암호화폐 커스터디(custody, 수탁) 시징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리플이 이번에 선보인 서비스들은 은행들과 핀테크 회사들을 대신해 암호화폐 토큰을 보관하고 관리해준다.
⦁리플, 은행·핀테크 기업들 겨냥 암호화폐 커스터디 서비스 출시
리플은 지난해 리플 커스터티 사업 부문을 설립하고 커스터디 시장 공략을 준비해왔다. 이번에 리플이 선보인 서비스들 중 AWS 클라우드HSM은 고객이 원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에서 HSM을 사용할 수 있도록 선택권을 부여해 온보딩과 도입 경험을 간소화한다.
김병환 금융위원장이 10일 국회에서 열린 국감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 국회 의사중계시스템]
10일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금융위원회(금융위)가가상자산 2단계 입법을 위한 자문기구인 가상자산위원회를 발족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2024국감] 김병환 금융위원장 "가상자산 2단계 입법 위한 자문기구 곧 발족"
김병환 금융위원장은 "2단계 입법을 논의하기 위해 가상자산위원회라는 자문기구를 곧 발족하려 한다. 가급적 심도있게 논의해 진행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라온시큐어가 옴니커넥트와 시선 추적 기반 인공지능(AI) 심리검사로 분석한 MBTI 등 다양한 심리 분석 결과를 블록체인 디지털 ID로 발급하는 사업을 추진한다고 11일 밝혔다.
⦁라온시큐어-옴니커넥트,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ID로 ‘MBTI 증명서’ 발급 협력
양사는 이번 협력으로 사용자들은 시간이 오래 소요되는 기존 지필 심리 검사 대비 빠르고 왜곡 없는 심리 측정은 물론, 측정 결과를 디지털 ID를 통해 발급받을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가상자산거래소 빗썸은 원화 예치금 이용료 즉시 받기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11일 밝혔다.
⦁빗썸, 예치금 이용료 '즉시 받기' 오픈
앞서 빗썸은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 시행에 따라 연 2.2%의 예치금 이용료를 지급하기로 공지한 바 있다.
11일 한국금융학회와 한국재무관리학회가 서울 영등포구 신한파트너스 대강당에서 공동개최한 디지털자산과 자본시장 선진화 공동정책심포지엄에서 관계자들이 패널 토론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 손슬기 기자]
국제적인 전통 금융의 토큰화추세에 발맞춰 법인 및 기관의 국내 투자를 허용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전통 금융 디지털자산화는 글로벌 추세...법인 및 기관 투자 허용해야"
11일 한국금융학회와 한국재무관리학회가 서울 영등포구 신한파트너스 대강당에서 공동개최한 디지털자산과 자본시장 선진화 공동정책심포지엄에서 이종섭 서울대학교 경영대학원 교수는 "비트코인 현물 상장지수펀드(ETF)를 시작으로 전통 금융기관이 가상자산 사업에 본격 진출하는 상황에서 개인 투자 위주 시장에 머물면 글로벌 추세에서 고립될 수 있다"고 말했다.
전통금융 강국인 미국, 홍콩, 일본 등이 웹3 금융 허브 도약을 위해 공격적인 진흥책을 펼치는 상황에서 기관 투자자들의 제도권 편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db:圖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