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주요 가상자산 거래소들이 지난해 부진한 성적표를 받은 가운데 올해는 비트코인 ETF 승인 등 각종 호재를 바탕으로 반등에 힘을 쏟고 있다.[사진: 각 거래소]
[디지털투데이 강진규 기자]국내 주요 가상자산(암호화폐) 거래소들이 지난해 부진한 성적표를 받았다.올해는 비트코인 등을 중심으로 가산자산 가격이 상승하고 있어 반등에 성공할지 주목된다.
⦁가상자산 거래소 작년 실적 부진...올해 분위기 반전 총력
업비트 운영사인 두나무의 지난해 매출은 연결기준으로 1조154억원으로 전년 비 19% 감소했다. 영업이익도 6409억원을 기록하며 전년비 21% 줄었다. 다만 당기순이익은 8050억원으로 전년비 6배 증가했다.
이번 실적 감소는 경기침체, 투자심리 위축, 금리인상 장기화 등에 따른 가상자산 시장 침체가 원인으로 풀이된다.
두나무는 서비스 다양화로 올해 반등 모멘텀을 마련하고 있다. 최근 업비트는 비트코인 가격 상승 시기에 맞춰 자사 가상자산지수 서비스인 UBCI에 'BTC-ETH 듀오 전략 지수'를 추가했다.
⦁빗썸, 지난해 매출 1358억원...순이익 243억원
빗썸의 작년 매출은 1358억원으로 전년비 58% 줄었다. 영업손실은 149억원을 기록하며적자로전환됐다. 당기순이익은243억원으로 전년비 75% 감소했지만 4년 연속 흑자를 유지했다.
빗썸은 매출 감소 원인을 거래대금 감소를 꼽았다. 지난해 4분기 거래 수수료 무료 정책을 진행하면서 주 수입원인 수수료 수익이 감소한 여파로 분석된다.
컴투스홀딩스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코인원지난해 매출은 전년비 36% 감소한 224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손실은 45억원으로 전년에 이어 적자가 계속됐다.
토큰증권 발행(STO) 시장 개화 기대감에 관련 플랫폼 개설이 잇따르고 있지만 법안 통과가 지연되면서 실제 상품 청약은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토큰증권 플랫폼 잇따라 나오는데...법 개정은 하세월
최근 조각투자사, 증권사들이 STO 플랫폼을 잇따라 내놓고 있다. 유진투자증권은 자체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 스마트챔피언을 통해 토큰증권 상품 청약, 배당, 청산이가능한 STO 플랫폼을 구축했다.
그러나 투자계약증권은 현재 유통 시장도 개설되지 않은 상태다.관련 법안이 지난해 7월 발의돼12월 정무위원회 법안심사소위원회 안건으로 상정됐지만 결국 통과되지 못했다.
법원에 출석하는 권도형 테라폼랩스 대표 [사진:연합뉴스]
미국 뉴욕 남부 지역 법원에서 배심원단이 테라폼랩스와 도 권(한국명 권도형) 공동 창업자가 투자자들을 잘못 인도했고 무모하게 행동했다며 테라 스테이블코인가 붕괴한 것에 책임이 있다는 판결을 내렸다고 디파이언트 등 외신들이 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 법원 배심원단 "테라폼랩스·권도형 전 대표, 테라 사기 책임 있다"
증권거래위원회(SEC)가 테라폼랩스와 권도형 전 대표를 상대로 제기한 소송에 대한 심의는 5일(현지시간) 오후 시작됐다.SEC는 2023년 2월 투자자들에게 400억 달러손실을 초래한사기를 주도한혐의로 권도형 전 대표를 기소했다.
한편 샘 뱅크먼-프리드 FTX 창업자가 재판에서 징역 25년형을 선고받았다. 그는 자신이 저지른 행동에 대해 "불법이라 생각한 적이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1일(이하 현지시간) 블록체인 매체 코인텔레그래프가 전했다.
⦁'징역 25년형' FTX 창업자 "위법 몰랐다…범행 의도 없어"
지난달 28일 프리드는 7건의 중범죄 혐의가 적용돼 징역 25년을 선고받았다. 이후 프리드는 수감돼 있는 미국 브루클린 메트로폴리탄 구치소에서 이메일을 통해 ABC뉴스 질문에 답했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3건의 이더리움(ETH) 현물 상장지수펀드(ETF) 신청에 대한 의견 수렴 창구를 열었다고 3일(현지시간) 블록체인 매체 코인데스크가 전했다.
⦁美 SEC, '이더리움 현물 ETF' 의견 요청…승인 향방 가를까
이에 따라 그레이스케일 인베스트먼트, 피델리티, 비트와이즈의 ETF 신청은 3주간의 의견 수렴 기간을 거칠 예정이다.
이더리움 [사진: 셔터스톡]
스테이킹 보상을 통해 발행되는 새 이더리움 발행량을줄여야 한다는 의견을 놓고이더리움 커뮤니티에서 논쟁이 뜨겁다.
⦁이더리움 발행량 더 줄여야 한다? 커뮤니티 시끌
30일(현지시간) 이더리움 재단 마이크 노이더(Mike Neuder) 연구원은 새 이더리움 발행을 줄이는 것을 옹호하는 글을 공개했고 이후이더리움 커뮤니티에선 공방전이 벌어지는양상이다.
가상자산 XRP를 제공하는 리플이 미국 달러 고정 스테이블코인 시장 진출을 선언했다. 리플 스테티블코인은 초기에는 리플 XRP 렛저와 이더리움 블록체인 기반으로 제공된다.
⦁리플, 달러 스테이블코인 시장 진출 선언...하반기 출시
모니카 롱 리플 사장은 "XRP 렛저와 이더리움에서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하는 것은 여러 생태계들에 걸쳐 기관 및 디파이 사용 사례들을 위한 새로운 기회를 열어주는 중요한 진입점이 될 것이다"면서 "XRP 렛저 기반으로 신뢰할 수 있는 스테이블코인을 제공하는 것은 더 많은 채택과 개발을 촉진해 활발한 생태계에 기여할 것이다"고 말했다.
소니 [사진: 셔터스톡]
소니그룹 은행 자회사인 소니뱅크가 법정 화폐와 가격이 고정된 자체 스테이블코인 발행과 관련해 개념검증(proof-of-concept)에 착수했다고 현지 니혼게이자이신문(니케이, Nikkei)이 5일 보도했다.
⦁소니, 퍼블릭 블록체인 개발 이어 스테이블코인 발행도 검토
소니뱅크는 결제 및 송금 수수료를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을 이유로 게임과 스포츠 등 회사 지식재산(IP)들 프로모션에 스테이블코인을 활용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고 이 신문은 전했다.
골드만삭스의 샤르민 모사바르-라흐마니(Sharmin Mossavar-Rahmani) 최고투자책임자(CIO)가 암호화폐에 대한 부정적인 입장을 표했다.
⦁"고객들 관심 없다"…골드만삭스, 비트코인 부정적 입장 여전
2일(현지시간) 블록체인 매체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샤르민 모사바르-라흐마니는 오랫동안 비트코인(BTC) 및 기타 디지털 자산에 대해 회의적인 입장을 취해왔다.
워렌버핏 버크셔해서웨이 회장 [사진: 위키미디어]
워렌 버핏의 버크셔 해서웨이가 브라질 최대 핀테크 기업 누홀딩스(Nu Holdings)에 투자하고 있다고 1일(현지시간) 블록체인 매체 코인포스트가 전했다.
⦁버크셔 해서웨이, 암호화폐 관련주 눈독?…누홀딩스 투자 정황 포착
지난 2016년 설립된 누홀딩스의 디지털 뱅킹 서비스 누뱅크(Nubank)는 지난해 9000명 이상의 사용자와 브라질 인구의 절반 이상이 누홀딩스 계정을 보유하면서 성장하고 있다.
구글이 가상자산사기꾼들을 상대로 민사 소송을 제기했다고 4일(현지시간) 비즈니스인사이더가 보도했다.
⦁구글, 사기성 암호화폐 앱 개발한 일당 상대로 소송 제기
소송을 당한 이들은 중국 선전과 홍콩에 본사를 둔 앱 개발자로 구글 플레이에서 사기성 앱을 공개하도록 한 혐의를 받고 있다. 이들은 합법적인 암호화폐 거래소 및 투자 플랫폼이라고 주장하며 특정 앱을 개발했다.
헥슬란트가 박인수 최고기술책임자(CTO)와 강준우 최고컨트랙트기술책임자(CCO)를 공동대표로 선임했다고 3일 밝혔다.
⦁헥슬란트, 박인수·강준우 공동 대표 체제 전환
헥슬란트는 이번 조직 개편을 통해 가상자산사업자 기반 규제 대응과 새로운 기술을 연계한 사업 개발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올해는 레이어3까지 확대한 컨트랙트 기술과 옥텟을 접목한 신사업을 선보일 예정이다.
패트릭 윤(Patrick Yoon) 크립토닷컴 한국 사장 [사진: 크립토닷컴]
글로벌 가상자산 플랫폼 크립토닷컴(Crypto.com)은 국내 이용자들이 선별된 암호화폐를 거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크립토닷컴 메인 앱(Crypto.com App)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크립토닷컴, 한국 암호화폐거래소 시장 진출...실명계좌도 도전
이용자들은 크립토닷컴 앱을 통해 가상자산거래 계좌를 개설하고, 150여개 가상자산을거래할 수 있다.크립토닷컴 NFT(Crypto.com NFT)를 통해 독점 NFT 프로젝트도 거래할 수 있으며, 크립토닷컴 유니버시티(Crypto.com University) 교육 및 유관 자료를 통해 사용자 혜택과 보상을 제공받게 된다.
[db:圖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