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셔터스톡]
[디지털투데이 손슬기 기자]가상자산(암호화폐) 거래소들이 자금세탁방지(AML) 시스템을 고도화하고 있다.5대 원화 거래소의 경우 특정금융정보법 시행 당시 이미 AML 시스템을 구축·가동하고 있으나 가상자산 이용 자금세탁 수법 등이 갈수록 교묘해지면서 대응을 강화하는모습이다.
가상자산을 이용한 자금세탁은 불법 획득 자금을 비트코인, 스테이블 코인 등 유동성이 큰 가상자산으로 받아 여러 가상자산에 걸쳐 다수 거래를 진행 및 일련의 다른 주소로 전송해 흔적을 위장한 다음, 세탁한 가상자산을 가상자산 거래소로 보내 법정화폐로 전환하는 방식이 주를 이룬다.
이러한 과정에서 각 거래소의 AML 조직은 수상한 거래 움직임을 파악하고 이를 금융정보분석원(FIU)으로 보고해야 한다.
코인원은 최근 자금세탁방지 고도화 프로젝트를 완료했다. 금융권 시스템을 기반으로 도입된 기존 AML 시스템을 가상자산사업자 맞춤형으로 업그레이드한 것이 프로젝트의 골자다.
이번 AML 고도화 프로젝트를 통해 위험평가(RA) 모델 및 요주의리스트 필터링 고도화, 의심거래보고(SRT)룰 신설 등이 포함됐다. 자금세탁 의심거래 및 고위험 고객에 대한 분석과 내외부 보고 프로세스를 효율적으로 구축해 AML 모니터링을 강화했다.
코인원 AML 전담조직은 전통 금융권 및 가상자산 업권 출신의 전문 인력으로 구성돼 있다. 코인원 전체 인원의 10% 수준 규모로, 이들의 AML 전문 교육 이수율은 100%에 달한다.
코인원은 임직원 전체를 대상으로 AML 교육도 진행하고 있다. FIU 권고보다 2배 가량 많은 교육 시간을 이수하고 있다.
아울러 실명계좌 제휴은행인 카카오뱅크와도 AML 업무에 있어 긴밀히 협력 중이다. 카카오뱅크와 함께 고객확인제도(KYC) 인원에 대한 검증, 관련 사고 및 분쟁 처리 대응, 대외 협력체제 구축 등을 이행하고 있다. 분기마다 자금세탁방지 부서 정기협의회를 진행, 상호 간 자금세탁 이슈 및 사례 등을 공유하며 양사 AML 역량과 시스템 고도화를 도모한다는 설명이다.
코인원 관계자는 "가상자산 업권은 업력이 길지 않다 보니 자금세탁 수법이 딱 정해져 있지 않았다"며 "이런 상황에 기존 금융권의 것을 도입해 사용하고 있었는데 업권이 자리잡아 가며 가상자산 이용 자금세탁만의 특징들도 특정할 수 있게 돼 특화 시스템이 필요했다"고 말했다.
코빗은 최근 한국금융연수원이 개발한 자금세탁방지 업무능력 검정시험(TPAC)에 전사적 차원에서 응시해 22명의 합격자를 배출했다. 코인원의 임직원 수는 100여명이다. 합격자 중 대표이사를 포함한 60%는 AML 외 인사로, 유관 및 비 유관 부서를 통틀어 AML 능력을 강화하는 데 힘쓰고 있다.
또 회사가 보유한 일별 가상자산 수량과 지갑 주소를 공개해 투명한 거래를 일정 보장한다. 재무 상태를 노출하는 리스크를 지면서도 거래소 FTX 파산 사태 당시 이용자 불안감이 확산되자 이같은 결정을 내렸다.
고팍스는 7단계 입출금을 내세웠다. 1단계부터 100만원 미만 소액까지 모두 모니터링한다. 또 3단계에서는 과거 자금세탁 관련 케이스를 분석해 만든 자체 룰로 자금세탁 관련 의심 거래를 솎아내고 있다.
고팍스 관계자는 "로맨스 스캠을 통한 자금세탁도 고팍스에서 2020년 4월에 감지해 금감원으로 보고한 케이스"라며 "까다로운 입출금 절차로 자금세탁 관련 범죄자들이 선호하지 않는 거래소로 알려져 있다"고 전했다.
두나무와 빗썸은 금융권 수준의 AML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빗썸은 2019년 AML 센터를 신설, 이듬해 AML 시스템을 구축했다. 다년간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고객확인 의무 수행, 가상자산 자금흐름 추적 등을 수행한다.
업비트 운영사 두나무는 업계 최대 규모인 50여명의 AML 인력을 운영 중이다. 금융기관 수준의 자금세탁방지 제도를 구축, 자체 개발한 인공지능(AI) 기반 툴을 활용한다.
[db:圖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