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ETF [사진: 셔터스톡]
[디지털투데이 김예슬 기자] 비트코인 현물 상장지수펀드(ETF)는 장기 투자보다는 단기 차익 거래에 주로 사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
24일(현지시간) 블록체인 매체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미국의 비트코인 현물 ETF는 지난해 1월 출시 이후 약 390억달러의 순유입을 유치했다. 그러나 시장조사업체 텐엑스리서치의 연구 책임자인 마르쿠스 틸렌은 이 중 175억달러, 즉 절반 이하만이 장기 매수라고 밝혔다.
틸렌은 "약 56%는 비트코인 선물의 숏 포지션이 유입을 상쇄하는 차익 거래 전략과 관련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전했다. 이는 비트코인에 대한 실제 수요가 미디어가 묘사하는 것보다 훨씬 작다는 것을 시사한다는 설명이다.
틸렌은 비트코인 ETF가 '캐리 트레이드'와도 관련이 있다고 언급했다. 이는 트레이더가 ETF를 통해 비트코인 현물을 매수하면서 동시에 비트코인 선물을 매도하고 현물과 선물 가격의 차이로 이익을 얻는 것을 말한다. 비트코인 ETF의 매수 및 매도는 주로 자금 조달 비율에 의해 주도되며, 많은 투자자가 장기 자본 증가보다는 단기 차익 거래에 집중한다는 설명이다.
또한 틸렌은 블랙록의 비트코인 현물 ETF인 아이셰어즈 비트코인 트러스트(IBIT)의 최대 보유자는 헤지펀드와 트레이딩 회사라며, 직접적인 방향성 위험을 감수하기보다는 시장의 비효율성을 활용하고 수익률 스프레드를 포착하는 데 특화되어 있다고 덧붙였다.
파사이드 인베스터스에 따르면 지난주 비트코인 ETF에서4거래일 연속 유출이 발생했으며, 5520억달러가 빠져나갔다. 틸렌은 "이러한 유출은 종종 언론 보도에서 약세 신호로 규정되기 때문에 시장 심리를 해친다"고 전했다. 그러나 "ETF를 매도하는 동시에 비트코인 선물을 매수해 방향성 있는 시장 영향을 효과적으로 상쇄하기 때문에 실제로는 시장 중립적"이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틸렌은 2024년 미국 대선 이후 실제 매수 흐름이 확실히 증가했다며, "트럼프가 당선된 이후 진정한 롱온리 비트코인 매수가 증가했지만, 소매 거래량이 감소하면서 자금 조달 비율이 폭락했다"고 전했다.
△디지털투데이 텔레그램 뉴스채널 구독하기(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