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금지\' 중국…홍콩이 해법 될까

[사진: 홍콩관광청]
[사진: 홍콩관광청]

[디지털투데이 AI리포터] 중국은 암호화폐 거래를 금지하면서도 블록체인 기술 개발에는 적극적이다. 홍콩이 규제된 암호화폐 시장을 제공하면서 중국 내 투자자들에게 새로운 기회가 열릴 가능성이 커졌다.

<!-- -->

이미 중국 투자자들이 QDII(적격내국기관투자자) 프로그램을 통해 미국 주식을 매입할 수 있는 만큼, 비트코인 투자도 가능해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27일(현지시간) 블록체인 매체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중국 본토 투자자들이 해외 주식을 거래하는 두 가지 경로가 있다. 첫째는 QDII 프로그램을 통한 미국 ETF 구매, 둘째는 상하이-홍콩 및 선전-홍콩 연결 프로그램을 활용한 홍콩 주식 거래다. 두 시스템 모두 중국 위안화(RMB)로 결제되며, 자본이 자유롭게 해외로 유출되지 않도록 설계됐다.

레드데이트테크놀로지 CEO 이판 허(Yifan He)는 "중국이 기존 주식 투자 시스템을 암호화폐에 적용한다면, 자본 통제를 유지하면서도 암호화폐 투자가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중국 투자자들이 직접 암호화폐를 보유하는 것이 아니라, 라이선스를 받은 증권사가 대신 보관하는 방식이 될 가능성이 크다. 이는 QDII 프로그램에서 미국 ETF를 거래하되 직접 보유하지 않는 구조와 유사하다.

중국은 블록체인 기술을 장려하면서도 암호화폐에 대한 규제는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금융 당국이 비트코인과 디지털 자산 연구 필요성을 언급하면서 변화의 조짐이 감지되고 있다. 이판 허는 "2년 전만 해도 중국이 암호화폐를 허용할 가능성은 0%였지만, 지금은 3년 내 50% 이상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고 전망했다.

중국이 홍콩을 활용한 암호화폐 우회로를 찾는다면, 이는 글로벌 암호화폐 시장에 새로운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면서도 자본 통제를 유지하려는 중국의 전략이 어떻게 전개될지 주목된다.

△디지털투데이 텔레그램 뉴스채널 구독하기(클릭)

[db:圖片]

작성자의 추가 정보

오픈 인텔리전스 얼라이언스 출범...코인베이스·니어 등 참여

이더리움 재단 리더십 개편…ETH 생태계 변화 예고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