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행정부가 암호화폐의 전략적 비축 추진 계획을 발표했다. [사진: 셔터스톡]
[디지털투데이 홍진주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비트코인(BTC), 이더리움(ETH) 등 주요 암호화폐의 전략적 비축을 추진한다고 발표한 이후 암호화폐 업계의 관심이 뜨거운 가운데, 이 같은 계획이 바람직하지 않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 -->
코인메트릭스 공동설립자이자 캐슬 아일랜드 벤처스의 파트너 닉 카터(Nic Carter)는 4일 블록체인 매체 코인데스크에 올린 기고문을 통해 미국 정부의 암호화폐 전략적 비축 계획이 바람직하지 않은 8가지 이유를 제시했다.
첫째, 쉽게 이루어진 것은 쉽게 무너진다.
트럼프가 의회의 승인 없이 행정명령에 의해서만 이를 실행할 경우, 다음 행정부에서는 이 정책에 얽매이지 않고 쉽게 뒤집을 수 있다. 이는 비트코인 시장에 단기적으로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불안정한 상황을 유발할 위험이 있다.
둘째, 글로벌 기축통화 발행국이 스스로 위기를 만들 수 있다.
미국은 세계 기축통화인 달러를 발행하는 국가다. 미국 정부가 비트코인을 법정화폐 시스템의 일부로 고려한다면, 이는 달러와 국채 시장에서 상당한 불안을 초래할 수 있다. 미국이 달러 시스템을 더 이상 신뢰하지 않는다는 신호를 줄 수 있다는 것. 이는 달러 가치와 미국의 금융 안정성에 대한 위협으로 이어질 수 있다.
셋째, 미국은 이미 충분히 비트코인에 노출되어 있다.
미국의 개인 및 기관 투자자들은 전 세계 어떤 나라보다 많은비트코인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비트코인 가격이 상승할 경우 이익을 실현한 투자자들은 이를 현금화해 미국 정부에 양도소득세를 납부해야 한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가 직접 비트코인을 매입할 필요가 있는지 의문이라는 주장이다. 닉 카터에 따르면 아무도 미국 정부가 애플이나 엔비디아 주식을 매수해야 한다고 주장하지 않는다. 비트코인 역시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정부가 보유할 필요가 없다.
미국이 비트코인 준비금 검토에 본격 착수했다 [사진: 셔터스톡]
넷째, 암호화폐 비축은 전략적 가치가 없다.
미국 정부는 원유, 희귀 광물, 의약품 등 위기 상황에서 꼭 필수적인 자산을 전략적으로 비축한다. 하지만 비트코인은 이러한 실질적인 전략적 필요성이 없다. 일반적인 미국인들이 삶의 질을 유지하기 위해 암호화폐의 공급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설명이다.
다섯째, 비트코인의 가치가 희석될 수 있다.
미국 정부가 리플(XRP), 카르다노(ADA), 솔라나(SOL) 등 다양한 암호화폐 비축을 추진할 경우 비트코인의 독보적인 가치가 절하될 수 있다. 비트코인은 공급이 제한된 유일한 암호화폐로, 다른 자산과 차별화된 진정한 탈중앙화 특성을 갖고 있다. 정부가 다양한 암호화폐를 함께 비축한다면 시장에서 비트코인의 지위가 흔들릴 수 있다.
여섯째, 비트코인은 정부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비트코인은 지난 2009년 탄생 이후 정부의 개입 없이 막대한 성장을 이뤘다. 심지어 각국 정부의 규제와 업계의 혼란스러움 속에서도 성공적으로 자리를 잡았다. 하지만 정부가 비트코인을 비축하면 이는 정치의 수단으로 변모할 수 있으며, 정부와 독립적인 가치 저장 수단이라는 본래의 목적을 잃을 수 있다.
이외에도 현재 미국에서 비트코인을 보유한 국민은 전체의 5~20% 수준인 점을 감안할 경우, 비트코인을 보유하지 않은 다수의 미국 국민들이 비트코인을 반대할 수도 있다는 점과 다양한 암호화폐 자산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트럼프 행정부의 사익 추구로 비칠 위험이 있다는 사실도 닉 카터는 언급했다.
△디지털투데이 텔레그램 뉴스채널 구독하기(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