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EOS 네트워크 재단 웹사이트 갈무리]
[디지털투데이 황치규 기자]EOS가 웹3 금융 생태계로 전환을 선언하고 볼타(Vaulta)로 리브랜딩한다고 더블록이 1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 -->
EOS는 기존 네트워크를 볼타로 개편하고, 새로운 토큰을 발행할 계획이다. 볼타 토큰은 현재 EOS가 거래되는 136개 거래소들에 상장될 예정이며, 구체적인 티커와 기술적 사양은 추후 공개된다.
보도에 따르면 볼타는 기존 EOSIO 소프트웨어 기반으로 구축되며, 비트코인에서 스마트 컨트랙트 확장을 지원하는 도킹 레이어(docking layer)인 exSat와 통합을 통해 크로스체인 거래 효율성을 높일 계획이다. 볼타 새 시스템은 1초 내 거래 확정성과 EVM 호환 스마트 컨트랙트를 지원한다.
볼타 ‘웹3 뱅킹 OS’는 세푸(Ceffu), 스프릿 블록체인(Spirit Blockchain), 블록체인 인슈어런스(Blockchain Insurance) 등과 협력해 기관급 금융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스프릿 블록체인은 부동산, 원자재 등 전통적으로 유동성이 낮은 자산에 대한 부분 소유를 지원하고, 세푸는 수탁, 스테이킹, 비트코인 수익 전략 기능을 제공한다.
볼타 금융 자문위원회에는 시스테믹 트러스트(Systemic Trust), 테트라(Tetra), ATB 파이낸셜 등 블록체인 및 금융 분야 전문 회사들이 참여한다.
EOS는 2018년 이더리움 대항마를 표방하며 등장했지만 기대 만큼 성과를 내지 못했다. 현재 시가총액은 7억7500만 달러로 2018년 최고치였던 180억 달러 대비 큰 폭으로 감소했다.
EOS 초기 개발사 블록원(Block.one)은 2019년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와 소송에서 2400만 달러 벌금을 지불했으며, 2021년에는 암호화폐 거래소 불리시 글로벌(Bullish Global)에 집중한다고 발표했다.
△디지털투데이 텔레그램 뉴스채널 구독하기(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