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이 100만달러에 도달하기 전 암호화폐 추적 시스템이 더욱 강화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사진: 셔터스톡]
[디지털투데이 홍진주 기자] 암호화폐 시장 환경이 급성장하는 가운데, 세계 각국의 세무 당국이 암호화폐 추적 시스템을 더욱 강화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 나왔다.
<!-- -->
20일(현지시간) 암호화폐 세금 납부 서비스 업체 코인리(Koinly)의 최고경영자(CEO)인 로빈 싱(Robin Singh)은 블록체인 매체 코인텔레그래프의 기고문을 통해 "비트코인(BTC) 가격이 100만달러에 도달하기 전 세무 당국이 암호화폐 감독 시스템을 늘릴 것"이라고 밝혔다.
그에 따르면, 암호화폐 투자자들은 규제를피해 갈 수 있다고 생각해서는 안 된다. 각국 세무 당국은 미래 시장에 초점을 맞추는 것 외에도 지난 몇 년간의 기록을 소급해 검토할 수 있는 권한을 통해 과거 암호화폐 거래를 조사하는 데에도 매우 능숙하다.
또한 로빈 싱은 세무 규칙이 언제든지 변경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미국 국세청(IRS)은 지갑별 비용 추적 방식을 의무화하여 보다 정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자 한다. 이는 비트코인 및 기타 암호화폐의 과세를 더욱 촘촘히 관리하기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또한, 코인베이스와 바이낸스US와 같은 거래소 역시 600달러 이상의 보상을 받은 이용자에 대해 암호화폐 관련 신고서 양식인 1099-MISC를 발송하고 있다.
아울러 세무 당국의 협력도 가속화될 전망이다. 지난해 3월 호주와 인도네시아 정부는 세금 정보 교환에 대한 합의에 도달했으며, 이중 하나는 암호화폐 사용과 관련된 것이었다. 이보다 앞선 2023년 11월에는 영국, 브라질, 독일, 일본을 포함한 47개국 정부가 암호화폐 자산 보고 프레임워크(Crypto Asset Reporting Framework, CARF)에 서명했다. 이들은 2027년까지 정보 공유를 위한 교환 계약을 발효할 계획이다.
로빈 싱은 "일부 투자자는 자산이 중앙집중형 거래소로 옮겨질 때까지 세무 당국의 추적을 피할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세무 당국은 이미 이를 알아차리고 있다"라며 "세무 당국은 투자자들이 감사 시스템을 우회하려고 시도하는 방식을 이해하기 위해 여러 암호화폐 분야 전문가를 투입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RWA 토큰 [사진: 셔터스톡]
한편, 블록체인 기술은 부동산 시장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로빈 싱에 따르면 전통적인 부동산 시장은 유동성이 없으며, 매매 완료에는 종종 몇 달 또는 심지어 몇 년이 걸린다. 이곳에 블록체인과 실물연계자산(RWA)의 개념이 등장한다. 즉, 부동산의 소유권이나 관련 현금 흐름을 블록체인에 디지털 토큰으로 변환하는 과정이다.
이를 통해 전통적인 부동산 시장이 가진 유동성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나온다. 또한 단일 부동산의 소유권 또는 임대 수익에 대한 권리를 디지털 토큰으로 변환하여 글로벌 시장에서 24시간 거래가 가능해질 전망이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가 규제 준수와 데이터 진위성에 대한 새로운 도전을 제기하고 있다. RWA의 잠재력을 완전히 실현하려면 법적 프레임워크와 산업 표준을 탐색해 지역 및 국제 규정과 부합하는지 확인해야 한다. 이에 여러 국가가 세금 정보 교환에 합의한 상황에서, 암호화폐의 과세가 더욱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는 게 로빈 싱의 의견이다.
△디지털투데이 텔레그램 뉴스채널 구독하기(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