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플(XRP) [사진: 셔터스톡]
[디지털투데이 AI리포터] 미국에서 암호화폐 현물 상장지수펀드(ETF) 승인을 받을 수 있는 가장 유력한 후보로 XRP가 떠올랐다.
<!-- -->
15일(현지시간) 블록체인 매체 코인데스크는 카이코(Kaiko)의 보고서를 인용해 XRP와 솔라나가 높은 유동성으로 인해 현물 ETF 승인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고 전했다. 특히 특히 리플 관련 토큰이 다른 토큰들보다 먼저 시장에 출시될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XRP는 2024년 말부터 솔라나를 앞지르고 카르다노(ADA)의 유동성을 2배 이상 뛰어넘었다. 또한 비트코인이 그레이스케일의 소송 승리를 계기로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현물 ETF 승인을 얻어냈던 것과 달리, XRP는 강력한 선물 시장 없이도 스팟 시장 점유율을 확대해왔다는 설명이다.
2021년 SEC의 소송 이후 XRP의 미국 현물 시장 점유율은 최고치로 상승한 반면, 솔라나의 미국 내 점유율이 2022년 최고치인 25~30%에서 16%로 하락했다. XRP의 모멘텀은 최근 테우크리움(Teucrium)이 출시한 2배 레버리지 XRP ETF로 더욱 강화됐다.
카이코는 "XRP의 시장 역학 개선과 2배 레버리지 ETF 출시는 다른 자산보다 XRP가 승인될 가능성을 높이는 요소"라고 분석했다.
△디지털투데이 텔레그램 뉴스채널 구독하기(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