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베이징시가 블록체인 기술을 국가 핵심 인프라로 삼는다. [사진: 셔터스톡]
[디지털투데이 AI리포터]중국 베이징시가 블록체인 기술을 국가 핵심 인프라로 삼고 2027년까지 대규모 개발 계획을 추진한다고 29일(현지시간) 블록체인 매체 코인텔레그래프가 전했다.
<!-- -->
이날 발표된 '베이징 블록체인 혁신 및 응용 개발 행동 계획'은 베이징시 과학기술위원회, 중관촌 행정관리위원회, 사이버공간관리국, 정부서비스 및 데이터국, 경제정보기술국, 상무국 등이 공동 수립한 것으로, 오는 2027년까지 단계적으로 추진된다.
해당 계획은 블록체인을 산업 디지털화의 핵심 기초 기술이자 중요한 디지털 인프라로 규정한다. 특히 여기에는 블록체인을 활용해 디지털 자산의 가치 추출을 강화하는 방안도 포함돼 있어, 암호화폐 채굴을 의미할 가능성도 있다. 베이징시는 이미 이 분야에 대규모 투자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또한 계획에는 암호기술, 프라이버시 보호 컴퓨팅, 분산 시스템에서 혁신을 목표로 하는 블록체인 소프트웨어 개발이 포함된다. 또한, 국가 블록체인 허브 노드 및 신뢰할 수 있는 디지털 ID와 분산 데이터 디렉토리를 위한 플랫폼 개발도 추진된다. 이는 의료, 교육, 인공지능(AI) 모델, 금융 서비스, 교통 등 다양한 산업에서 블록체인을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효율성과 신뢰성을 높이는 것이 핵심이다.
이 계획은 '하나의 블록체인, 하나의 네트워크, 하나의 플랫폼' 원칙을 따르며, 2027년까지 전용 블록체인 칩, 프라이버시 보호 기능, 크로스체인 상호운용성, 분산 네트워킹을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페타바이트(PB)급 신뢰 노드 스토리지, 대규모 블록체인 상호운용성, 1억명 규모의 신뢰 아이덴티티 시스템 구축도 포함되며, 최소 20개의 블록체인 활용 사례를 개발할 예정이다.
이번 발표는 베이징시가 2023년 5월 발표한 '웹3 혁신 및 개발 백서'에 이은 조치다. 당시 베이징시는 웹3 기술을 미래 인터넷 산업 발전의 필연적 흐름으로 인정했으며, 베이징을 디지털 경제 혁신 허브로 구축하기 위해 연간 최소 1억위안(약 190억원)을 투입할 계획을 밝힌 바 있다.
△디지털투데이 텔레그램 뉴스채널 구독하기(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