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가 비트코인을 전략적인 준비 자산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사진: 셔터스톡]
[디지털투데이 AI리포터] 미국 주 정부의 비트코인(BTC) 전략적 비축 법안이 시행되면 최대 230억달러의 매수세가 유입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 -->
12일(현지시간) 블록체인 매체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메튜 시겔 반에크 암호화폐(가상자산) 리서치 책임자는 엑스(구 트위터)를 통해 "미국 내 20개 주에서 발의된 비트코인 전략적 비축 법안이 시행될 경우, 약 24만7000BTC 상당의 매수세가 발생할 수 있다"라고 밝혔다.
이어 "이 분석에 주정부 연금 기금 투자의 비트코인 매입 가능성은 포함되지 않았다"라며 "추후 연금 기금에 비트코인을 추가하거나 비축 법안을 발의하는 주가 늘어나면 수요는 더욱 증가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비트코인 트레저리 추적 사이트 비트코인트레저리스(BitcoinTreasuries.NET)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국가 전략적 비트코인 비축을 검토하라고 지시했으며, 약 150개 이상의 기업이 인플레이션 헤지 수단으로 비트코인을 축적하고 있다.
또한, 트럼프는 주권 재산 기금을 설립하라고 명령했으며, 이 기금은 비트코인 매입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고 업계 분석가들은 보고 있다.
암호화폐 스타트업 플랫폼 잼즈런치패드(Gems Launchpad)의 최고경영자(CEO)인 아이작 조슈아(Isaac Joshua)는 "기관과 정부의 비트코인 채택이 늘며, 주류 준비자산이 되어가고 있다"라고 말했다. 또 예측 시장 칼시(Kalshi)는 트럼프가 올해 국가 비트코인 비축을 만들 가능성을 52%로 보고 있으며, 코인쉐어즈는 비트코인 법의 제정이 ETF 출시보다 장기적으로 더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밝혔다.
△디지털투데이 텔레그램 뉴스채널 구독하기(클릭)
[db:圖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