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접 거래소도 운영?...가상자산 시장 북한發 보안 위협 부상

북한이 가상자산(암호화폐) 업체를 해킹하는 것을 넘어 직접 위장 가상자산 거래소를 만들거나 코인을 발행할 수도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사진: 셔터스톡]
북한이 가상자산(암호화폐) 업체를 해킹하는 것을 넘어 직접 위장 가상자산 거래소를 만들거나 코인을 발행할 수도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사진: 셔터스톡]

[디지털투데이 강진규 기자]북한이 가상자산(암호화폐) 시장을 직접 위협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가상자산업체를 해킹하는 수준을 넘어서 위장 가상자산 거래소를 만들거나 코인을 발행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다.

<!-- -->

정부 관계자들에 따르면 최근 국가정보원은 ‘국가사이버안보센터 2024년 연례보고서’를 발간했다. 이번연례보고서에는 국가사이버안보센터의 지난 1년 동안 성과와 최신 사이버위협 동향 등에 관한 내용이 담겼다.

특히 국정원은 올해 우려되는 사이버위협 5대 전망을 소개했다. 첫 번째로 국정원은 권위주의 국가들이 ‘사이버’를 전략적 우위 확보 수단화을 삼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북한, 중국, 러시아 등이 한국 외교 안보 정책 및 방산·첨단기술을 노린 사이버첩보 활동을 강화하고 자국 우호 여론 형성을 위한 활동에 나설 수 있다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소프트웨어(SW) 공급망 공격, 인공지능(AI) 기술 악용, 해킹용 비밀 네트워크 구축 등이 나타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두 번째로 국정원은 정치적 활동을 하는 해커 그룹인 핵티비스트와 민간 해커들이 주요 위협 행위자로 부상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해커들이 정치적 공격을 대행할 가능성이 있으며 민간 해커들의 해킹 모의와 위협도 늘어날 수 있다는 지적이다.

국정원은 세 번째로 북한 해커들의 외화벌이 활동이 다양해질 것으로 전망했다. 가상자산 업체를 해킹해 이득을 취하는 것을 넘어 북한 해커들이 직접 위장 가상자산 거래소를 개설해 운영하거나 자체 코인을 발행할 수 있다는 것이다. 북한이 가짜 피싱 사이트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해외 가상자산 거래소, 업체를 가장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국정원은 북한 해커들이 로맨스 스캠, 주식사기 등으로 활동을 확대할 가능성도 지적했다.

네 번째로 국정원은 인공지능(AI) 관련 위협을 꼽았다. 국정원은 AI 결합 서비스를 대상으로 예측 불가한 위협이 증가할 것이며 과거 클라우드 서비스 장애로 혼란을 준 것처럼 비슷한 공격이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다섯 번째로 국정원은 물리적 피해를 목적으로 하는 해킹이 본격화되고 자율주행차·스마트시티 등 스마트 인프라 해킹이 발생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국정원은 지난해 사이버위협 동향에 대해서도 소개했다. 2024년 국제 및 국가배후 해킹조직에 의한 국내 해킹피해가 2023년에 비해 약 60% 더 발생하는 등 사이버안보 위협이 전반적으로 증가했다는 것이다.

국정원은 북한 해킹 조직이 북한의 역점 사업인 ‘국방력 강화’와 ‘지방발전 정책’을 이행하기 위해 방산, 위성, 반도체, 건설 관련 기술 절취에 주력했고 대북 전단 및 무인기 관련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북한이탈주민, 드론전문가 해킹도 병행했다고 주장했다.

이밖에도 지난해 해커들이 재테크 유튜버 등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가상자산 탈취를 시도했으며 공격대상자 물색 및 해킹메일 작성에 생성형 AI를 이용하는 움직임도 있었다고 전했다.

△디지털투데이 텔레그램 뉴스채널 구독하기(클릭)

작성자의 추가 정보

비트코인 스테이킹 플랫폼 아크레, 투자 유치...스테이킹 보상 외 수익 창출 지원

\"비트코인 레이어2 허니문 끝나...3년 내 3분의 2 이상 사라질 것\"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