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보유한 금 보유 증서를 재평가해 비트코인을 대량 매입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사진: 셔터스톡]
[디지털투데이 홍진주 기자]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보유한 금 보유 증서를 재평가해 비트코인(BTC) 확보에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지난 21일(현지시간) 블록체인 매체 코인텔레그래프가 전했다.
<!-- -->
보 하인스(Bo Hines) 백악관 가상자산(암호화폐) 자문위원회 위원장은 최근 팟캐스트 인터뷰에서 "정부가 더 많은 비트코인을 매입할 수 있는 수많은 아이디어가 있다"라며 "금 보유증서를 현 시세에 맞게 재평가하는 아이디어가 구체적으로 논의되고 있다"라고 밝혔다. 그는 이 같은 방식이 국가의 비트코인 보유량을 늘리는 예상 중립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세인트 루이스 연방준비은행(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에 따르면, 미국은 약 2억6160만 트로이온스(8200톤)의 금을 보유하고 있다. 이는 전 세계 국가 중 가장 많은 수준으로, 금 보유량의 장부상 가격은 온스당 42.22달러(약 6만1974원)로 평가된다. 이는 지난 1973년 미국 의회가 정한 후 약 50년 간 변하지 않았으며, 총 평가액은 110억달러(약 16조1470억원)에 불과하다. 하지만 최근 금의 실제 시장 가치는 온스당 약 3000달러(약 440만원)이상으로, 이에 따라 미국이 보유한 금의 실제 평가액은 7650억달러(약 1122조9435억원)가 되는 셈이다.
하인스 위원장은 "이처럼 금 보유 증서의 진정한 가치를 식별한다면, 이는 더 많은 비트코인을 매입하는 방법이 될 수 있다"라고 강조했다. 단순 회계 평가를 통해 미국 재정을 보완할 수 있는 설명이다.
포트녹스 전경 [사진: 미 화폐주조국]
이와 유사한 전략을 담고 있는 법안은 앞서 신시아 루미스 상원의원이 제안한 '2025 비트코인법'(BITCOIN Act of 2025)으로, 이는 보유 금을 재평가해 비트코인을 대량 매입해 전략비축하는 방안이다. 해당 법안은 연준이 보관 중인 모든 금 증서를 재무부에 반환하고, 재무부는 이러한 증서에 대해시장가치 기준을 반영해 재발행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뉴욕증시에서는 금 증서의 시장 가치 반영이 수천억 달러에 이르는 자산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고 본다.
이에 대해 하인스는 "아직 최종 결정이 난 것은 아니지만, 세금 부담을 주지 않는 한 비트코인 비축을 확대할 방법에 대해 어떤 아이디어든 수용할 의향이 있다"라며 "여러 부처 간 관련 논의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라고 전했다.
또한 하인스는 비트코인의 특별한 지위를 재확인하며, 백악관암호화폐 위원회가 디지털 자산의 전략적 비축을 매우 다르게다루고 있다고 암시했다. 그는 "우리가 전략적 비트코인 비축을 구조화한 이유는 비트코인이 다르기 때문"이라며 "그것(비트코인)은 독특하다. 이는 상품이지, 증권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 역시 비트코인이 다른 알트코인과 다르게 취급될 것임을 명확히 한 바 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이달 초 행정명령으로 국가 비트코인 비축고 창설을 승인한 바 있다. 현재 미국 정부는 범죄 및 민사 절차 등을 통해 약 20만7000 BTC를 몰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전 세계 국가 중 가장 많은 수준이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켄터키주에 있는 육군 기지 옆 미 재무부가 관리하는 금 보유고인 '포트 녹스'보유 금에 대한 정밀 조사를 지시하기도 했다.
한편 트럼프 행정부는 비트코인 매입 목표 외에도 양당 협력을 통해 암호화폐 관련 법안에서 상당한 진전을 이루고 있다. 로 카나(Ro Khanna) 미국 캘리포니아주 하원의원은 의회가 올해 스테이블코인 법안과 암호화폐 시장 구조 법안을 통과시킬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디지털투데이 텔레그램 뉴스채널 구독하기(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