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자산 거래 시장, 상승장은 업비트·하락장선 빗썸·코인원 점유율 증가 두드러져

[자료: 디스프레드]
[자료: 디스프레드]

[디지털투데이 황치규 기자]웹3 컨설팅 기업 디스프레드 리서치 전담 조직 ‘디스프레드 리서치’가 최근 국내 거래소 상장 현황을 다룬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25일 밝혔다.

<!-- -->

이번 보고서는 2023년 4분기부터 2024년 7월까지 기간 동안 국내 원화마켓 거래소 트렌드와 거래대금 점유율 추이 등을 조명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올 상반기 가상자산 시장이 조정세를 보이는 과정에서 빗썸과 코인원 점유율이 상승했다.

디스프레드가 국내에서 가장 높은 거래량을 보유하고 있는 업비트·빗썸 거래대금 월간 점유율을 분석한 결과 업비트는 상승장에 점유율이 올랐으며, 빗썸은 조정장에 점유율이 상승하는 양상을 보였다. 지난 1분기 비트코인 현물 상장지수펀드(ETF) 승인으로, 비트코인 가격이 오른 시점에 업비트 점유율은 1월 55.4%에서 3월 78.9%로 수직 상승했다. 같은 기간 빗썸 점유율은 40.5%에서 18.6%까지 하락했다.

그러나 2분기 가상자산 시장이 조정세를 보이자 업비트와 빗썸 점유율 격차는 줄어들었다. 업비트 점유율은 3월 78.9%에서 6월 63.3%로, 약 16%p 하락했고 빗썸은 같은 기간 18.6%에서 32%로 상승했다. 코인원 점유율도 3월(1.8%)에서 6월(2.9%)로 확대되며 빗썸과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코인원 점유율 상승세는 5개 거래소 중 95% 내외 점유율을 차지하는 업비트·빗썸을 제외한 나머지 거래소(코인원·코빗·고팍스)끼리 비교했을 때도 두드러졌다.

[자료: 디스프레드]
[자료: 디스프레드]

디스프레드가 코인원·코빗·고팍스를 분석한 결과, 세 거래소 점유율은 3월부터 우상향하기 시작했으며, 이중 코인원 거래대금 점유율은 대부분의 기간 동안 50%로, 5개 거래소 중 3위를 기록했다.

조사 기간 동안 상장 건수 기준으로 코인원은 5개 거래소 중 1위를 차지했으며, 밈코인 상장 기준으로도에서 가장 높은 상장 수(7건)를 기록했다. 빗썸(3건), 코빗(1건)이 그 뒤를 이었고, 업비트와 고팍스는 한 건도 상장하지 않았다.

디스프레드는 보고서에서 “5개 거래소 중 코인원이 가장 (글로벌 가상자산 시장) 트렌드를 빠르게 반영했다”라며 “지난해 4분기 밈코인(MEME), 봉크(BONK)를 시작으로 밈코인 섹터 공략에 나섰다”라고 설명했다.

이승화 디스프레드 리서치팀장은 “국내 가상자산 시장에서 오랜 기간 아성을 지켜온 업비트를 추격하기 위해 타 거래소들이 보여준 거래 수수료 무료 정책 및 적극적인 상장 기조 등은 인상적이었다”라며 “이런 정책들이 어느 정도 효과를 거뒀다고 평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다만 지난 19일 가상자산 이용자 보호법 시행으로 국내 규제 환경이 변하면서 적극적인 가상자산 상장이 어려워질 것으로 예상되는데, 향후 거래소들이 어떤 방식으로 점유율 경쟁을 이어 나갈 것인지 주목된다”고 덧붙였다.

[db:圖片]

작성자의 추가 정보

토요타가 왜 이더리움 계정 추상화 기술을 주목할까?

알키미야 \"이더리움 기술로 변동성 큰 비트코인 수수료 리스크 낮추겠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