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행정부가 국제개발처 시스템에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사진: 셔터스톡]
[디지털투데이 AI리포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행정부가 국제개발처(USAID) 시스템에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하는 방안을 추진한다고 지난 21일(현지시간) 블록체인 매체 코인데스크가 전했다.
<!-- -->
국무부 내부 문건에 따르면, 이 계획은 USAID를 미국 국제 인도적 지원으로 재브랜딩하고 국무장관의 직접 관할 하에 두는 것을 목표로 한다.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보안, 투명성, 추적 가능성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USAID는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여러 혼란을 겪었다. 일론 머스크 미 정부 효율부(DOGE) 특별고문은 USAID에 대해 “비효율적이고 부패한 기관”으로 규정하며 폐쇄를 명령했다. 이에 따라 USAID 직원들의 본부 출입이 금지됐고 대다수가 행정 휴직으로 전환돼 수천 명의 직원이 전 세계에서 일자리를 잃었으며 대부분의 해외 원조 프로그램이 중단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1월 20일 행정 명령을 통해 USAID 지급을 동결시켰다.
이번 구상 역시 머스크가 주도하는 것으로 보인다. 앞서 머스크는 지난 1월 DOGE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블록체인 기술 사용을 제안한 바 있다. 그는 연방 지출 추적, 데이터 보안, 결제 간소화 등을 통해 비용을 절감하고 행정 투명성을 강화한다는 입장이다.
매체는 "트럼프 행정부의 이 같은 행보는 미국 역사상 최대 규모의 블록체인 프로젝트를 실현할 가능성을 열고 있으나, 기술이 구체적으로 어떤 방식으로 도입될지는 아직 불분명하다"라고 전했다.
△디지털투데이 텔레그램 뉴스채널 구독하기(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