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위스 바젤에 위치한 BIS 본부 [사진: 위키미디어]
[디지털투데이 AI리포터]국제결제은행(BIS)이 암호화폐와 디파이(DeFi) 리스크를 억제해야 한다는 보고서를 발표하며, 규제 강화를 권고했다고 지난 19일(현지시간) 블록체인 매체 더블록이 보도했다.
<!-- -->
BIS는 '암호화폐와 탈중앙화 금융: 기능과 금융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Cryptocurrencies and decentralised finance: functions and financial stability implications)이라는 제목의 보고서에서 암호화폐 상장지수펀드(ETF)와 실물연계자산(RWA) 등으로 디파이가 전통 금융과 더욱 밀접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규제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BIS는 보고서를 통해 "암호화폐와 디파이가 전통 금융과 실물 경제에 미치는 리스크를 억제해야 한다"며, 전면 금지는 바람직하지 않다"라고 덧붙였다.
또한 보고서는 암호화폐와 디파이의 투명성이 기존 금융보다 높지만, 익명성 때문에 명성과 신뢰를 기반으로 한 규제가 적용되지 않는 점을 문제로 지적했다. BIS는 디파이가 전통 금융과 유사한 역할을 수행하는 만큼 적절한 공시, 고객확인제도(KYC) 적용, 전문가 자격 기준 마련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암호화폐 업계는 강하게 반발했다. 코인펀드의 크리스토퍼 퍼킨스는 "BIS의 권고는 무지하고 위험한 접근"이라며 "오픈소스와 투명한 코드가 기존 금융의 불투명성과 정보 비대칭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 같은 규제가 오히려 시스템적 리스크를 초래할 것"이라고 비판했다. 커브 파이낸스의 창업자 미하일 예고로프도 "이런 규제는 받아들일 수 없다"며 반발했다.
△디지털투데이 텔레그램 뉴스채널 구독하기(클릭)